카테고리 없음

회복 탄력성이란? 회복과 심리학,특징,결론

mynote9758 2025. 4. 9. 16:00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

회복 탄력성이란 무엇인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말하는 회복 탄력성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회복 탄력성에 대해 우리가 오해하는 진실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회복 탄력성, 빨리 회복하는 것이 중요한가?

흔히 우리는 회복 탄력성을 "얼마나 빨리 회복하는가"의 문제로 생각합니다. 잡초처럼 금방 다시 살아나야 하고, 어려움을 겪어도 순식간에 일어나야만 강한 사람이라고 여깁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회복이 빠르냐 늦냐가 아니라, "회복이 되느냐, 되지 않느냐", 그리고 "얼마나 온전히 회복되는가"입니다.

사람마다 회복하는 방식은 다릅니다.

  • 어떤 사람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회복됩니다.
  • 어떤 사람은 바쁘게 움직이고 운동하며 회복합니다.
  • 어떤 사람은 1년 동안 사람을 피해야 하고,
  • 어떤 사람은 매일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즉, 회복 탄력성을 키우는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흔히 빠르게 회복하는 사람만을 "회복 탄력성이 높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실 천천히 회복하더라도 완전히 회복된다면 그것이 더 중요한 것이 아닐까요?

회복 탄력성과 관련된 심리학 개념

"회복 탄력성(Resilience)"이라는 개념은 심리학에서 연구되지만, 교과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는 아닙니다. 대신 가장 유사한 개념으로 "사회적 적응(Social Adaptation)"이 있습니다.

  • 사회적 적응이란, 해고, 이혼, 정년퇴직과 같은 인생의 변화 속에서 얼마나 빨리 다시 사회에 적응하는가를 뜻합니다.
  • 실제 심리학 진단에서는 "적응 장애(Adjustment Disorder)"라는 개념이 회복 탄력성과 가장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보통 회복 탄력성을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나는 능력"**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중요한 것은 회복하는 과정과 결과입니다. 천천히 회복하더라도 결국 다시 일어설 수 있다면 그것이 진정한 회복 탄력성 아닐까요?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두 가지 요소가 중요합니다.

1) 자율성이 강한 사람

  • 책임감이 있으며,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 목적의식이 뚜렷하고, 자신을 유능하다고 생각합니다.
  • 현재 상황이 크게 일탈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2) 인내력이 강한 사람

  • 참을성이 있고, 끈기가 있습니다.
  • 목표를 이루려는 야망이 있으며, 쉽게 포기하지 않습니다.
  • 스트레스를 받아도 쉽게 지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자율성과 인내력이 반드시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운동선수를 예로 들어볼까요?

  • 부상을 당해도 재활을 반복하며 다시 도전하는 선수는 회복 탄력성이 높은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 하지만 그 선수가 성공하는 이유가 단순히 정신력이 강해서일까요? 아니면 선천적으로 회복이 빠른 근육을 가졌기 때문일까요?
  • 실제로는 의지뿐만 아니라, 신체 조건, 지능,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합니다.

즉, 성공했다고 해서 반드시 회복 탄력성이 높은 것은 아니며, 실패했다고 해서 반드시 회복 탄력성이 낮은 것도 아닙니다.

우리는 성공한 사람만 "회복 탄력성이 높다"고 착각합니다.

우리는 "끝이 성공으로 마무리되면 회복 탄력성이 높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사업을 여러 번 실패했지만 끝내 성공한 사람은 "회복 탄력성이 높다"고 평가받습니다.
  • 반대로 같은 과정을 겪고도 실패한 사람은 "회복 탄력성이 부족했다"고 여겨집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요소가 회복 탄력성만이 아닙니다.

  • 사업가는 머리가 좋고 임기응변이 뛰어나서 성공할 수도 있습니다.
  • 운동선수는 타고난 신체 조건 덕분에 회복이 빠를 수도 있습니다.
  • 단순히 운이 좋아서 성공했을 수도 있습니다.

즉, "성공한 사람이 회복 탄력성이 높다"는 인식은 잘못된 것입니다.
성공했다고 해서 "내가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이다"라고 자랑할 필요가 없고,
실패했다고 해서 "나는 회복 탄력성이 낮아서 안 된다"며 자책할 필요도 없습니다.

"빨리 괜찮아 보이는 사람"이 회복 탄력성이 높은 걸까?

우리는 어떤 사람이 힘든 일을 겪고도 금방 괜찮아 보이면, "회복 탄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하지만 어떤 사람은 겁이 없어서 큰 타격을 입지 않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 어떤 사람은 화를 표출하지 않아서 회복된 것처럼 보일 뿐일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어떤 사람은 오랜 시간 힘들어하는 것처럼 보여도 속으로는 잘 극복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 우리는 보통 **"용서하고 잊어버리는 사람이 회복 탄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하지만 사실 그 사람이 아예 타격을 입지 않았을 수도 있고,
✔ 혹은 그냥 무시하는 습관이 들어서일 수도 있습니다.

결국, 겉으로 보이는 모습만으로 회복 탄력성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한 오류입니다.

우리는 각자 다른 부분에서 강하고, 다른 부분에서 약한 존재입니다.

✔ 어떤 사람은 욕을 먹어도 별로 신경 쓰지 않지만, 돈을 잃으면 크게 상처받습니다.
✔ 어떤 사람은 돈을 잃어도 대수롭지 않지만, 남들에게 무시당하면 크게 상처받습니다.
✔ 어떤 사람은 창피한 일을 당하는 것이 가장 힘들고,
✔ 어떤 사람은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 더 고통스럽습니다.

즉, 우리는 각자 강한 부분이 다르고, 약한 부분이 다릅니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이 쉽게 극복하는 것을 보고 "나는 왜 이렇게 약할까?"라고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진정한 회복 탄력성이란 무엇일까요.

✔ 힘든 일을 끝까지 해내는 사람이 회복 탄력성이 높은 걸까요?
✔ 아니면 힘든 일을 그만두고도 금방 괜찮아지는 사람이 회복 탄력성이 높은 걸까요?

사실, 둘 다 가능합니다.
✔ 결국 중요한 것은 "내가 힘들다고 생각하면 힘든 것이고, 괜찮다고 생각하면 괜찮은 것"입니다.
✔ 우리는 누구나 기본적인 회복 탄력성을 가지고 있으며,
✔ 필요할 때는 "힘들다"고 말할 권리가 있습니다.

결론: 나만 늦는 것 같아도, 결국 우리는 모두 회복한다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우리는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맞이하면 일단 멈추게 됩니다.
✔ 이는 우리의 본능적인 뇌 반응이며,
✔ 바로 회복하려고 애쓰기보다, 충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 중요한 것은 "회복 탄력성이 높아야 한다"는 강박을 버리는 것입니다.
✔ 우리는 모두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 나만 늦는 것처럼 보일 뿐, 사실 다른 사람들도 나와 비슷한 속도로 회복하고 있습니다.

결론: 나만 늦는 것 같아도, 결국 우리는 모두 회복한다

✔ 회복 탄력성은 빠르거나 늦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 회복할 수 있느냐, 그리고 얼마나 온전하게 회복하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 우리는 각자 다른 부분에서 강하고, 다른 부분에서 약합니다.
✔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처럼 보이는 것도, 단순한 착각일 수 있습니다.
✔ 중요한 것은 "나는 나의 속도로 회복할 것이다"라는 믿음을 갖는 것입니다.